참여마당

  • FAQ
  • 코레일러브포인트
  • 건강플러스 캠페인

자유게시판

  • 참여마당
  • 자유게시판
공지사항 보기
제목 5.2일 공청회에서 질문자가 많아 차례가 오지 않아 준비 했다 못한 이야길 남긴다. 2007-05-03
작성자 자원봉사자 hit : 2898
첨부파일 첨부된 화일이 없습니다.  
5.2일 공청회에서 질문자가 많아 차례가 오지 않아 준비 했다 못한 이야길 남긴다.

첫째로 곳곳에서 발견 할 수 있는 관변단체 육성에 대한 염려다.
‘관변’이란 용어의 사전적 해석에는 가치판단이 내포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관변단체’라는 용어에는 부정적 가치판단이 내려져 있다. 적어도 한국사회에서는 그렇다. 어용이라는 말과도 맥을 같이한다. 이같은 판단의 배경은 뭘까?
그건 아마도 한국 현대사에서 노정된 정권의 정통성 논란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적어도 문민정부 이후에는 정권의 정통성 논란은 소멸되지 않았을까?
물론 이의가 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심지어 정부 관료의 입에서 조차 이 같은 우려가 반복된다. 폭압적 정권의 국민으로 살았던 콤플렉스는 아직도 계속되는 건가?

이런 점에서, 적어도 민관의 파트너 십을 전제로 하고, 거버넌스 시대에 사는 현재 라면 ‘국가봉사단’등을 포함한 정부의 자원봉사 진흥시책 안에 대하여 지나친 의혹의 눈초리를 보낼 필요는 없다고 본다.

둘째 이선미 교수의 이야기 중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발견했다.
‘자원봉사민간조직의 관리자에 대한 npo경영교육이 필요’ 하다는 것이 그것이다.

우리나라는 단체설립(법인)에 허가주의를 채택함에도 불구하고 원하는 사람은 누구나 큰 어려움 없이 법인설립이 가능하다. 하물며 법인이 아닌 단체를 설립함에는 거의 제한이 없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해마다 계속되는 비영리 민간단체 지원사업의 신청자가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것만 봐도 이를 반증한다.

문제는 이들 단체의 임원(이사)이 된다는 것에 대한 당사자들의 책무의식이 희박하다는 거다. 이들이 스스로 조직경영의 책임자이며 사회적으로 당해 단체의 존재의의와 사회적 필요성에 대한 책임감을 느끼기 보다는 사회적 지위 확보에 더 큰 의미를 둔다는 것이다.

이 점에 대한 정확한 조사의 근거를 당장 제시하기는 어렵다 하더라도 체감적으로 그렇다고 봐도 무리는 아닐 것이다.

전반적으로 이선미 교수의 발언을 제외하고는 지나치게 방어적, 공격적 토론이 주가 되었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

누차에 걸쳐 특정 세력을 염두에 둔 연구가 아니라는 연구진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다분히 비본질적 이야기가 논의의 중심에 자리 잡았다는 느낌을 받았다.

마지막으로 자원봉사진흥을 위한 국가 5개년 계획의 성안에 상당한 난관이 있겠음을 다시한번 확인하였다. 산고 없이 어찌 옥동자가 태어 날 수 있겠냐마는 자칫 산모의 생명이 위태롭지나 않을까 하는 걱정이 앞선다. 관계자들의 노고에 위로를 드린다.



개인정보취급방침 이용약관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오시는 길